현관 인테리어 하는 방법
오늘은 현관 인테리어에 대해서 간략히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현관은 집의 얼굴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집을 들어올때 가장 처음 마주치는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현관 또한 주방, 거실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살려야 집의 통일감이있고 더욱더 세련되어 보입니다!
현관은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자신의 집의 크기와 디자인 방향에 따라 추가하거나 뺼 수 있습니다.
1) 현관 바닥
2) 현관 디딤판
3) 신발장
4) 거울
5) 수납공간
그럼 아래글을 통해 현관 인테리어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현관 바닥 타일 고르는 방법
1) 색상 고르는 방법 : 밝은 타일 vs 어두운 타일
현관 바닥의 타일은 집을 넓은 공간감을 주고 싶다면 밝은 계열의 타일을 선택하는것이 좋다. 많은 경우에 현관이 그렇게 크지 않으므로, 밝은 타일을 고르는것이 집을 넓게 보이는 방법이다.
반면, 현관이 넓고, 집 자체의 평수가 커서 어두운 계열의 디자인을 흡수 할 수 있다면, 고급스럽고 세련된 느낌을 줄 수 있다!
2) 타일의 재질: 폴리싱 vs 포슬레인
우선, 폴리싱과 포슬레인의 차이를 간단히 알려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폴리싱 | 포슬레인 | |
표면 재질 | 표면을 연마함 | 표면을 연마하기 전 |
슬립 | 슬립 (미끄러지기 쉬움!) | 논 슬립 |
강도 | 강함 | 상대적으로 약함 |
추가적인 특징 | 고급+깨끗 | 안전+안락 |
대부분의 아파트에서 저는 포슬레인을 추천드립니다. 그 이유는 폴리싱은 비오는날, 눈오느날 미끄러지기 쉬워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아이를 키우는 가정이라면, 포슬레인을 추천합니다.
3) 타일의 사이즈
줄눈의 모양이 어중간하지 않게, 등분이 될 수 있는 타일을 고르는것이 좋습니다. 예를들어, 현관의 바닥크기가 1200mmx1200mm이면 600mmx600mm로 골라 4개가 안정적이게 배치되어 있는것이 좋습니다
현관 디딤판은 강화 천연석으로!
현관 디딤판은 단 높임과 동시에 마루와의 재료분리 역할을 하는 제품입니다. 그래서 천역석 느낌의 고급스러운 강화 천역석을 적용하면 좋습니다.
그러나, 요즘에는 집의 공간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현관 바닥의 색깔, 디딤판의 색깔, 거실바닥의 색깔을 비슷하게 가져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 재질이 같은경우나, 색상이 비슷한경우에 자칫 단을 구분하지 못해 넘어지는 낙상사고가 일어 날 수 있으니, 주의요망!)
신발장 하부 수납 공간!
요새는 현관의 폭이 좁아져, 현관의 신발이 쓸려다니는 경우가 많다. 이를 방지하기위해서 신발장을 30cm 띄어서 계획합니다. 이는 현관의 공간을 좀더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하부에 조명을 설치하여 추가적으로 고급감을 줄 수 있다.
현관 거울
현관 거울은 집을 나서기 전 자신을 마지막으로 확인 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거울은 은경보다는 브론즈경이 좀 더 고급감을 줄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현관 인테리어 하는 방법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다른 인테리어 방법도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글을 클릭 해주세요!
[돈 되는 부동산 이야기/집값 높이는 인테리어] - 거실 인테리어 아트월 망하지 않는 법
거실 인테리어 아트월 망하지 않는 법
오늘은 거실의 인테리어 포인트 아트월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인테리어야 말 그대로 자기 마음대로 하는 것이지만, 자신 뿐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예뻐보이게 하는 것이 집 값에도 도
it-allrounder.tistory.com